교향곡 제100번 사장조 [군대] 제3악장 / 제4악장
페이지 정보

본문
제3악장
메누에토 모테라토 G장조 군대라는 표제와는 관계없는 일반적인 메누에토 악장으로 우아한
메누에토가 아닌 약간 거친 느낌을 주는 음악입니다.
주요 주제는 리듬을 강조한 전합주에 의한 8마디와 선율을 부각시키는 후반의 8마디가 교묘
히 대비를 이루고 있읍니다.
메누에토의 후반부 가운데 처음의 26마디에 이 메누에토 주제의 전개가 이루어지고 그 뒤에
8마디의 주제가 재현된 다음 7마디의 종결부가 이어져 있읍니다.
중간부의 트리오는 주부인 메누에토에 비하면 오히려 우아한 분위기를 가지고 있읍니다.
트리오 주제는 가볍고 발랄한 리듬을 가지고 있는데 플루우트와 오보에게 3도 사이를 두고
움직이는 제1바이올린과 제2바이올린의 선율에 색채적인 효과를 주고 있읍니다.
곡은 다시 주부의 메누에토로 되돌아가 주제가 재현되고 대체로 원형대로 연주된 다음 곡이
끝납니다.
제4악장
프레스토 G장조 8분의 6박자 소나타 형식으로 이 악장은 전곡 중 가장 알차고 잘 꾸며진 악장
일 뿐 아니라 잘로몬 교향곡 가운데서도 가장 원숙한 구성을 하고 있읍니다.
곡의 구성은 소나타 형식의 정석에 따라 꾸며져 있는데 제1주제는 관례처럼 2부로 나누어져
전반부의 8마디는 주제를 현악으로 연주하고 후반부의 41마디는 주제의 전개와 재현으로 꾸
며져 있읍니다.
그리고 각기 이것이 반복되고 경과부로 이어지는데, 이 경과부 역시 제1주제의 동기가 철저
하게 전개되어 있읍니다.
제2주제는 장식음이 붙어 있는 경쾌한 리듬을 가지고 있어 치밀한 동기 구성을 하고 있는 제
1주제와는 현저한 대조를 이루고 있읍니다.
전개부는 주제 제시부의 경과부를 이어받아 먼저 제1주제가 전개되고 A플랫장조로 바꾸어
제2주제가 전개됩니다.
그리고 후반부는 음형적으로 상당히 자유롭게 발전해 갑니다.
곡은 다시 제1주제의 동기에 의한 전개로 되돌아오고 경과부에 의해 전개부의 최후의 마무리
를 하면 쉼표를 거쳐 재현부에 들어갑니다.
제1주제의 재현은 보다 간결하게 되어 있고 이어나오는 경과부에서는 이 주제동기의 새로운
전개가 나타납니다.
이것은 조성의 변화가 풍부하게 처리되어 있읍니다.
제2주제의 재현에서는 제2악장에서 사용되었던 군대적인 타악기 즉, 트라이앵글, 심벌즈,큰북
등을 합친 전합주에 의해 당당하게 연주됩니다.그리고 종결부는 먼저 제1주제가 원형대로 연주
되고 타악기들이 힘차게 연주하는 가운데 주제 동기에 의한 힘찬 장점을 이루고 끝맺습니다.
메누에토 모테라토 G장조 군대라는 표제와는 관계없는 일반적인 메누에토 악장으로 우아한
메누에토가 아닌 약간 거친 느낌을 주는 음악입니다.
주요 주제는 리듬을 강조한 전합주에 의한 8마디와 선율을 부각시키는 후반의 8마디가 교묘
히 대비를 이루고 있읍니다.
메누에토의 후반부 가운데 처음의 26마디에 이 메누에토 주제의 전개가 이루어지고 그 뒤에
8마디의 주제가 재현된 다음 7마디의 종결부가 이어져 있읍니다.
중간부의 트리오는 주부인 메누에토에 비하면 오히려 우아한 분위기를 가지고 있읍니다.
트리오 주제는 가볍고 발랄한 리듬을 가지고 있는데 플루우트와 오보에게 3도 사이를 두고
움직이는 제1바이올린과 제2바이올린의 선율에 색채적인 효과를 주고 있읍니다.
곡은 다시 주부의 메누에토로 되돌아가 주제가 재현되고 대체로 원형대로 연주된 다음 곡이
끝납니다.
제4악장
프레스토 G장조 8분의 6박자 소나타 형식으로 이 악장은 전곡 중 가장 알차고 잘 꾸며진 악장
일 뿐 아니라 잘로몬 교향곡 가운데서도 가장 원숙한 구성을 하고 있읍니다.
곡의 구성은 소나타 형식의 정석에 따라 꾸며져 있는데 제1주제는 관례처럼 2부로 나누어져
전반부의 8마디는 주제를 현악으로 연주하고 후반부의 41마디는 주제의 전개와 재현으로 꾸
며져 있읍니다.
그리고 각기 이것이 반복되고 경과부로 이어지는데, 이 경과부 역시 제1주제의 동기가 철저
하게 전개되어 있읍니다.
제2주제는 장식음이 붙어 있는 경쾌한 리듬을 가지고 있어 치밀한 동기 구성을 하고 있는 제
1주제와는 현저한 대조를 이루고 있읍니다.
전개부는 주제 제시부의 경과부를 이어받아 먼저 제1주제가 전개되고 A플랫장조로 바꾸어
제2주제가 전개됩니다.
그리고 후반부는 음형적으로 상당히 자유롭게 발전해 갑니다.
곡은 다시 제1주제의 동기에 의한 전개로 되돌아오고 경과부에 의해 전개부의 최후의 마무리
를 하면 쉼표를 거쳐 재현부에 들어갑니다.
제1주제의 재현은 보다 간결하게 되어 있고 이어나오는 경과부에서는 이 주제동기의 새로운
전개가 나타납니다.
이것은 조성의 변화가 풍부하게 처리되어 있읍니다.
제2주제의 재현에서는 제2악장에서 사용되었던 군대적인 타악기 즉, 트라이앵글, 심벌즈,큰북
등을 합친 전합주에 의해 당당하게 연주됩니다.그리고 종결부는 먼저 제1주제가 원형대로 연주
되고 타악기들이 힘차게 연주하는 가운데 주제 동기에 의한 힘찬 장점을 이루고 끝맺습니다.
- 이전글교향곡 제101번 나장조 [시계] 제1악장 / 제2악장 13.04.08
- 다음글교향곡 제100번 [군대] 제2악장 13.04.0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