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란덴부르크 협주곡 제5번 라장조 작품1050
페이지 정보

본문
이 "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제5번 " 은 여섯곡의 "브란덴부르크 협주곡"중 가장 규모가 크고
또한 화려한 작품입니다.
이것은 쳄발로의 활약이 두드러지고 쳄발로의 성부에 상당히 비중을 두고 있는 관계이겠읍
니다마는, 쳄발로의 기다란 카덴짜까지 가지고 있어서 다분히 쳄발로의 협주곡 같은 느낌을
줍니다.
따라서 이 "제5번" 은 바하가 1720년 베를린에서 새로이 도착한 쳄발로의 훌륭한 성능에 자극
을 받아 작곡한 것으로 짐작이 갑니다.
이 시대의 쳄발로는 대부분 저음과 화음을 연주하는 보조 악기로 사용한 정도에 그쳤읍니다
마는, 이 곡에서는 전체를 주도하는 독주 악기로 사용하고 있읍니다.
즉, 쳄발로와 바이올린과 플루우트를 콘체르티노, 다시 말해서 독주부로 하고 이에 대항 해서
현악 합주가 콘체르트 그로소로서 들어와 있읍니다.
물론 전체적인 곡취는 바로크적인 합주 형태에서 크게 벗어난 것은 아닙니다.
악기 편성은 독주부가 플루우트, 바이올린, 쳄발로, 합주부가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비올로
네로 되어 있읍니다.
제1악장 : 알레그로, D장조, 2분의 2박자입니다.
처음 전합주로서 힘찬 화음적인 주제가 바이올린에 나타나고 이 주제가 쳄발로, 플루우트, 바
이올린의 독주부의 새로운 악구를 사이에 두고 다시 전후 2부로 나누어져 나타납니다.
이 두개의 음형이 이 악장의 소재가 되고 있읍니다.
제1부는 처음 독주부에 나왔던 악구의 발전과 모방적 진행, 제2부는 D장조, b단조의 조바꿈과
쳄발로가 활동하는 부분입니다.
독주부의 바이올린이 주제의 동기로 플루우트와 모방을 하고 이어 새로운 소재가 들어와 간주곡
과 같은 부분을 이룹니다.
제3부는 주제가 A장조로 나타나고 제1부와 대체로 같은 형태로 진행하는 동안 쳄발로가 점차 섬
세한 음형을 연주하고 화려한 카덴짜를 연주합니다.
그리고 끝에 주제가 주도를 하고 곡을 끝맺습니다.
제2악장 : 아펫투오소, b단조, 4분의 4박자입니다.
'감동적으로'라고 씌어 있는 이 악장에서는 합주부가 쉬고 독주부의 플루우트, 바이올린, 쳄발로
만이 3중주를 하게 되어 있읍니다.
그리고 '아펫투오소'라는 악상 표어도 그렇습니다마는, 바하 자신이 붙인 악상표어로서는 희귀한
예가 됩니다.
그리고 이 악장은 근접 모방을 바탕으로 상당히 정교한 기교로서 꾸며져 있읍니다마는 서정적인
정취가 풍부합니다.
곡은 처음에 나오는 기본 주제가 바이올린에 이어 이것을 플루우트가 모방하고 이를 주도하는 쳄
발로와 쫓고 쫓기면서 때로는 강하게 때로는 약하게 목가적 애수를 간직하면서 D장조 , f#단조,
e단조를 거쳐 b단조에서 끝이 납니다.
도중 가슴에 스며드는 새로운 아름다운 동기가 들어와 간주곡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제3악장 : 알레그로, D장조,4분의 2박자입니다.
이 악장은 일종의 3부형식으로 되어 앞뒤에 똑같은 푸가를 배치하고 중간에 발전부에 해당하는 부
분을 두고 있읍니다.
곡은 처음 스케르쪼같은 발랄한 기본주제가 독주 악기에 의해 푸가의 수법으로 시작되어 경과구를
거쳐 비올라, 바이올린에 주제와 응답이 나옵니다.
다시 플루우트에 주제가 나타나고 첼로와 쳄발로에 주제와 응답이 나온 다음 기다란 경과구가 이어
집니다.
그리고 저음부터 점차 높은 악기 순으로 주제 응답이 근접해서 들어오고 결미부로 끝납니다.
중간부는 b단조로 시작해서 쳄발로의 세잇단음표 위에 플루우트의 선율이 나옵니다마는 이것도 주
제에서 파생한 것입니다.
이 선율이 f# 단조로 바뀌어서 쳄발로로 옮겨지고 자유롭게 발전합니다.
이 사이에 여러 새로운 주제를 등장시키면서 조바꿈을 하고 쳄발로의 카덴짜적인 부분에 이어 점차
악기가 들어와 발전하고 끝납니다.
곡은 다시 D장조의 화음으로 시작하는 푸가의 주부가 나오고 끝납니다.
또한 화려한 작품입니다.
이것은 쳄발로의 활약이 두드러지고 쳄발로의 성부에 상당히 비중을 두고 있는 관계이겠읍
니다마는, 쳄발로의 기다란 카덴짜까지 가지고 있어서 다분히 쳄발로의 협주곡 같은 느낌을
줍니다.
따라서 이 "제5번" 은 바하가 1720년 베를린에서 새로이 도착한 쳄발로의 훌륭한 성능에 자극
을 받아 작곡한 것으로 짐작이 갑니다.
이 시대의 쳄발로는 대부분 저음과 화음을 연주하는 보조 악기로 사용한 정도에 그쳤읍니다
마는, 이 곡에서는 전체를 주도하는 독주 악기로 사용하고 있읍니다.
즉, 쳄발로와 바이올린과 플루우트를 콘체르티노, 다시 말해서 독주부로 하고 이에 대항 해서
현악 합주가 콘체르트 그로소로서 들어와 있읍니다.
물론 전체적인 곡취는 바로크적인 합주 형태에서 크게 벗어난 것은 아닙니다.
악기 편성은 독주부가 플루우트, 바이올린, 쳄발로, 합주부가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비올로
네로 되어 있읍니다.
제1악장 : 알레그로, D장조, 2분의 2박자입니다.
처음 전합주로서 힘찬 화음적인 주제가 바이올린에 나타나고 이 주제가 쳄발로, 플루우트, 바
이올린의 독주부의 새로운 악구를 사이에 두고 다시 전후 2부로 나누어져 나타납니다.
이 두개의 음형이 이 악장의 소재가 되고 있읍니다.
제1부는 처음 독주부에 나왔던 악구의 발전과 모방적 진행, 제2부는 D장조, b단조의 조바꿈과
쳄발로가 활동하는 부분입니다.
독주부의 바이올린이 주제의 동기로 플루우트와 모방을 하고 이어 새로운 소재가 들어와 간주곡
과 같은 부분을 이룹니다.
제3부는 주제가 A장조로 나타나고 제1부와 대체로 같은 형태로 진행하는 동안 쳄발로가 점차 섬
세한 음형을 연주하고 화려한 카덴짜를 연주합니다.
그리고 끝에 주제가 주도를 하고 곡을 끝맺습니다.
제2악장 : 아펫투오소, b단조, 4분의 4박자입니다.
'감동적으로'라고 씌어 있는 이 악장에서는 합주부가 쉬고 독주부의 플루우트, 바이올린, 쳄발로
만이 3중주를 하게 되어 있읍니다.
그리고 '아펫투오소'라는 악상 표어도 그렇습니다마는, 바하 자신이 붙인 악상표어로서는 희귀한
예가 됩니다.
그리고 이 악장은 근접 모방을 바탕으로 상당히 정교한 기교로서 꾸며져 있읍니다마는 서정적인
정취가 풍부합니다.
곡은 처음에 나오는 기본 주제가 바이올린에 이어 이것을 플루우트가 모방하고 이를 주도하는 쳄
발로와 쫓고 쫓기면서 때로는 강하게 때로는 약하게 목가적 애수를 간직하면서 D장조 , f#단조,
e단조를 거쳐 b단조에서 끝이 납니다.
도중 가슴에 스며드는 새로운 아름다운 동기가 들어와 간주곡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제3악장 : 알레그로, D장조,4분의 2박자입니다.
이 악장은 일종의 3부형식으로 되어 앞뒤에 똑같은 푸가를 배치하고 중간에 발전부에 해당하는 부
분을 두고 있읍니다.
곡은 처음 스케르쪼같은 발랄한 기본주제가 독주 악기에 의해 푸가의 수법으로 시작되어 경과구를
거쳐 비올라, 바이올린에 주제와 응답이 나옵니다.
다시 플루우트에 주제가 나타나고 첼로와 쳄발로에 주제와 응답이 나온 다음 기다란 경과구가 이어
집니다.
그리고 저음부터 점차 높은 악기 순으로 주제 응답이 근접해서 들어오고 결미부로 끝납니다.
중간부는 b단조로 시작해서 쳄발로의 세잇단음표 위에 플루우트의 선율이 나옵니다마는 이것도 주
제에서 파생한 것입니다.
이 선율이 f# 단조로 바뀌어서 쳄발로로 옮겨지고 자유롭게 발전합니다.
이 사이에 여러 새로운 주제를 등장시키면서 조바꿈을 하고 쳄발로의 카덴짜적인 부분에 이어 점차
악기가 들어와 발전하고 끝납니다.
곡은 다시 D장조의 화음으로 시작하는 푸가의 주부가 나오고 끝납니다.
- 이전글토카타와 푸카 바장조 작품540 13.04.08
- 다음글브란덴부르크 협주곡 제4번 사장조 작품1049 13.04.0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