첼로 협주곡 라장조 작품101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13-04-08 02:49 조회 875 댓글 0본문
하이든은 6곡내지 8곡의 첼로 협주곡을 작곡한 것으로 알려져 있읍니다마는 오늘날 남아
있는 것은 C장조와 D장조의 2곡 뿐입니다.
이중에서 특히 유명한 것은 D장조의 협주곡으로 하이든의 '첼로 협주곡' 이라고 하면 으
례 이 D장조의 '첼로 협주곡'을 한때 하이든의 작품이 아니라느 설이 대두되어 그 진의를
둘러싸고 오랫동안 논쟁이 계속되었읍니다.
이는 하이든의 자필 원고가 19세기말부터 최근까지 분실한데서 이러한 의혹이 생긴 것입
니다.
특히 1922년 독일의 한스 포르크만이란 하이든 연구가 "하이든의 첼로 협주곡은 정말로
자작일까?"라는 논문을 음악잡지 "무지크"에 발표한 데서 시작된 것 입니다.
포르크만은 이 논문에서 하이든이 악장으로 있던 에스테르하지 후작의 악단에 첼로 주자
로 있었던 안톤 크라프트가 이 곡의 작곡자라고 주장했읍니다.
크라프트는 하이든에게 작곡법을 배운 사람으로 상당히 재질도 가지고 있어서 약간의 작
품도 남기고 있읍니다.
그런데 이 D장조의 협주곡이 이 크라프트가 작곡한 첼로 협주곡과 비슷한 데서 더욱 의혹
을 갖게 된 것입니다.
더우기 이 D장조의 협주곡은 하이든의 작곡 스타일에서 본다면 예외라 할만큼 독주 첼로
의 기교에서 거장성을 볼 수 있고 폭 넓은 구성을 하고 있읍니다.
이를테면 효과적인 고도의 음정을 사용하고 어려운 중음 주법을 자유롭게 구사하는 따위
입니다.
또한 지금까지 출판된 하이든의 다른 D장조의 첼로 협주곡은 이러한 화려한 독주 파트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한편 이에 대한 반대론도 많았읍니다.
이를테면 모짜르트의 연구가인 케페르 같은 사람은 하이든의 유품에서 발견되어 출판사의
요한 안드레에 의해 "요제프 하이든 작곡의 관현악 반주가 붙은 첼로 협주곡 작품101, 작곡
자의 오리지날 원고에 의한 판"이라고 해서 발표된 이 곡은 원고가 분실되었다.
하더라도 그 원고에 하이든의 서명이 있고 1783년이란 날짜가 적혀 있었던 것이니 틀림이
없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그런데 1945년에 미국의 하이든 협회가 비엔나의 국립 도서관에서 하이든의 자필 원고를
발견함으로써 이 D장조의 "첼로 협주곡" 이 하이든의 것이라는 확증을 얻게 되었읍니다.
이 협주곡은1783년 에스테르하지 후작의 관현악단에서 첼로 주자로 활동하고 있었던 안톤
크라프트를 위해 쓰여진 것으로 짐작되며 초연도 역시 크라프트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 됩니다.
이 곡은 고전협주곡의 관례대로 3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읍니다마는 다른 협주곡에서는 볼
수 없을 만큼 견실하고 짜임새 있는 작품입니다.
특히 독주 첼로의 거작적이고 화려한 움직임은 특기할만큼 이곡의 우수성을 더해주고 있
을 뿐더러 곡 전체가 청아하고 정감도 풍부한 아름다운 음악입니다.
오늘날 연주되고 있는 것은 하이든의 자필 악보보다는 후세의 여러 사람에 의한 편곡을 많
이 사용하고 있읍니다.
악기 편성은 원래 독주 첼로에 관현악은 현5부와 오보에, 호른을 각기 둘 사용하게 되어 있
었읍니다마는 오늘날에는 벨기에의 음악 학자 쥬베르가 1890년에 편곡한 대로 플루우트 2,
클라리넷 2, 파곳 2를 추가해서 사용하고 있읍니다.
제1악장
알레그로 모데라토 D장조 4분의 4박자 소나타 형식입니다.
관현악의 바이올린이 단아하고 전원적인 제1주제를 연주하고 짧은 경과구를 거쳐 오보에와
클라리넷, 그리고 바이올린으로 유화한 제2주제를 노래합니다.
낭만적인 정감마져 주는 차분한 선율입니다.
관현악의 제시부가 끝나면 독주 첼로가 등장해서 두 주제를 기교적으로 장식해 갑니다.
그리고 빠른 악구를 거쳐 제2주제의 단편을 연주합니다.
전개부는 관현악의 전합주로 제1주제를 연주하고 독주 첼로가 다시 A장조로 제1주제를 연
주 합니다.
조바꿈을 하면서 점차 화려하게 전개해 가며 감정을 고조시켜 정점에 도달합니다.
독주 첼로는 주로 현악기만을 반주로 해서 기교를 과시합니다.
재현부는 독주 첼로에 의한 제1주제의 재현으로 시작되어 정석대로 으뜸조인 D장조로 제2
주제가 재현됩니다.
독주 첼로가 다시 첼로가 다시 화려한 악구를 기교적으로 연주하며 정점에 이르면 일단 쉰
다음 A장조로 제1주제를 연주하고 곡은 힘과 열을 가해 관현악이 카덴짜로 유도하면 독주
첼로가 화려한 카덴짜를 연주합니다.
그 뒤 관현악의 짧은 종결부로 악장을 끝맺습니다.
제2악장
아다지오 A장조 4분의 2박자 론도 형식입니다.
밝고 아담한 악장으로 짧은 곡이지만 변화 있는 음악입니다.
독주 첼로가 유화한 그리고 서정미 있는 주요 주제를 연주하면 관현악이 이 주제를 다시 한
번 힘차게 되풀이 합니다.
이어 E장조로 독주 첼로가 새로운 유화한 선율의 제1부 주제를 연주합니다.
여기에 현이 유창하고 아름다운 조화를 이룹니다.
곡은 다시 주요 주제가 독주 첼로의 의해 장식되어 나오고 이를 전관현악이 받아서 되풀이
합니다.
곡은 C장조로 바꾸어 독주 첼로가 물곁같은 현의 반주를 타고 간결한 제2부 주제를 연주합
니다.
음계적인 기교적 악구를 거쳐 곡은 A장조로 되돌아와 주요 주제를 재현한 다음 카덴짜를 거
쳐 조용히 끝납니다.
제3악장
알레그로 D장조 8분의 6박자를 론도 형식으로 경쾌하며 친밀감을 주는 선율을 가지고 있어
화려하기도 합니다.
곡은 먼저 독주 첼로가 활기있고 산뜻한 주요 주제를 연주합니다.
이를 관현악이 되풀이 하면 다시 독주 첼로가 A장조로 밝은 제1부 주제를 연주하고 경쾌한
경과부를 거쳐 이번에는 D장조로 되돌아가 주요주제를 연주합니다.
이를 역시 되풀이하고 독주 첼로의 화려한 경과구를 거쳐 A장조로 제2부주제를 리듬을 변화
시켜 연주합니다.
잠시 분위기는 어두워지지만 곧 밝은 정감으로 되돌아가 이 부주제를 전개하고 주요주제를
상기시켜 줍니다.
곡은 d단조로 쓸쓸한 분위기로 변해 관현악이 주요 주제를 연주하고 이에 독주 첼로가 들어
와 기교적인 악구를 연주합니다.
다시 곡은 D장조의 밝은 장조로 바꾸어 주요주제를 연주하고 이어 화려한 종결부로 곡을
끝맺습니다.
있는 것은 C장조와 D장조의 2곡 뿐입니다.
이중에서 특히 유명한 것은 D장조의 협주곡으로 하이든의 '첼로 협주곡' 이라고 하면 으
례 이 D장조의 '첼로 협주곡'을 한때 하이든의 작품이 아니라느 설이 대두되어 그 진의를
둘러싸고 오랫동안 논쟁이 계속되었읍니다.
이는 하이든의 자필 원고가 19세기말부터 최근까지 분실한데서 이러한 의혹이 생긴 것입
니다.
특히 1922년 독일의 한스 포르크만이란 하이든 연구가 "하이든의 첼로 협주곡은 정말로
자작일까?"라는 논문을 음악잡지 "무지크"에 발표한 데서 시작된 것 입니다.
포르크만은 이 논문에서 하이든이 악장으로 있던 에스테르하지 후작의 악단에 첼로 주자
로 있었던 안톤 크라프트가 이 곡의 작곡자라고 주장했읍니다.
크라프트는 하이든에게 작곡법을 배운 사람으로 상당히 재질도 가지고 있어서 약간의 작
품도 남기고 있읍니다.
그런데 이 D장조의 협주곡이 이 크라프트가 작곡한 첼로 협주곡과 비슷한 데서 더욱 의혹
을 갖게 된 것입니다.
더우기 이 D장조의 협주곡은 하이든의 작곡 스타일에서 본다면 예외라 할만큼 독주 첼로
의 기교에서 거장성을 볼 수 있고 폭 넓은 구성을 하고 있읍니다.
이를테면 효과적인 고도의 음정을 사용하고 어려운 중음 주법을 자유롭게 구사하는 따위
입니다.
또한 지금까지 출판된 하이든의 다른 D장조의 첼로 협주곡은 이러한 화려한 독주 파트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한편 이에 대한 반대론도 많았읍니다.
이를테면 모짜르트의 연구가인 케페르 같은 사람은 하이든의 유품에서 발견되어 출판사의
요한 안드레에 의해 "요제프 하이든 작곡의 관현악 반주가 붙은 첼로 협주곡 작품101, 작곡
자의 오리지날 원고에 의한 판"이라고 해서 발표된 이 곡은 원고가 분실되었다.
하더라도 그 원고에 하이든의 서명이 있고 1783년이란 날짜가 적혀 있었던 것이니 틀림이
없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그런데 1945년에 미국의 하이든 협회가 비엔나의 국립 도서관에서 하이든의 자필 원고를
발견함으로써 이 D장조의 "첼로 협주곡" 이 하이든의 것이라는 확증을 얻게 되었읍니다.
이 협주곡은1783년 에스테르하지 후작의 관현악단에서 첼로 주자로 활동하고 있었던 안톤
크라프트를 위해 쓰여진 것으로 짐작되며 초연도 역시 크라프트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 됩니다.
이 곡은 고전협주곡의 관례대로 3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읍니다마는 다른 협주곡에서는 볼
수 없을 만큼 견실하고 짜임새 있는 작품입니다.
특히 독주 첼로의 거작적이고 화려한 움직임은 특기할만큼 이곡의 우수성을 더해주고 있
을 뿐더러 곡 전체가 청아하고 정감도 풍부한 아름다운 음악입니다.
오늘날 연주되고 있는 것은 하이든의 자필 악보보다는 후세의 여러 사람에 의한 편곡을 많
이 사용하고 있읍니다.
악기 편성은 원래 독주 첼로에 관현악은 현5부와 오보에, 호른을 각기 둘 사용하게 되어 있
었읍니다마는 오늘날에는 벨기에의 음악 학자 쥬베르가 1890년에 편곡한 대로 플루우트 2,
클라리넷 2, 파곳 2를 추가해서 사용하고 있읍니다.
제1악장
알레그로 모데라토 D장조 4분의 4박자 소나타 형식입니다.
관현악의 바이올린이 단아하고 전원적인 제1주제를 연주하고 짧은 경과구를 거쳐 오보에와
클라리넷, 그리고 바이올린으로 유화한 제2주제를 노래합니다.
낭만적인 정감마져 주는 차분한 선율입니다.
관현악의 제시부가 끝나면 독주 첼로가 등장해서 두 주제를 기교적으로 장식해 갑니다.
그리고 빠른 악구를 거쳐 제2주제의 단편을 연주합니다.
전개부는 관현악의 전합주로 제1주제를 연주하고 독주 첼로가 다시 A장조로 제1주제를 연
주 합니다.
조바꿈을 하면서 점차 화려하게 전개해 가며 감정을 고조시켜 정점에 도달합니다.
독주 첼로는 주로 현악기만을 반주로 해서 기교를 과시합니다.
재현부는 독주 첼로에 의한 제1주제의 재현으로 시작되어 정석대로 으뜸조인 D장조로 제2
주제가 재현됩니다.
독주 첼로가 다시 첼로가 다시 화려한 악구를 기교적으로 연주하며 정점에 이르면 일단 쉰
다음 A장조로 제1주제를 연주하고 곡은 힘과 열을 가해 관현악이 카덴짜로 유도하면 독주
첼로가 화려한 카덴짜를 연주합니다.
그 뒤 관현악의 짧은 종결부로 악장을 끝맺습니다.
제2악장
아다지오 A장조 4분의 2박자 론도 형식입니다.
밝고 아담한 악장으로 짧은 곡이지만 변화 있는 음악입니다.
독주 첼로가 유화한 그리고 서정미 있는 주요 주제를 연주하면 관현악이 이 주제를 다시 한
번 힘차게 되풀이 합니다.
이어 E장조로 독주 첼로가 새로운 유화한 선율의 제1부 주제를 연주합니다.
여기에 현이 유창하고 아름다운 조화를 이룹니다.
곡은 다시 주요 주제가 독주 첼로의 의해 장식되어 나오고 이를 전관현악이 받아서 되풀이
합니다.
곡은 C장조로 바꾸어 독주 첼로가 물곁같은 현의 반주를 타고 간결한 제2부 주제를 연주합
니다.
음계적인 기교적 악구를 거쳐 곡은 A장조로 되돌아와 주요 주제를 재현한 다음 카덴짜를 거
쳐 조용히 끝납니다.
제3악장
알레그로 D장조 8분의 6박자를 론도 형식으로 경쾌하며 친밀감을 주는 선율을 가지고 있어
화려하기도 합니다.
곡은 먼저 독주 첼로가 활기있고 산뜻한 주요 주제를 연주합니다.
이를 관현악이 되풀이 하면 다시 독주 첼로가 A장조로 밝은 제1부 주제를 연주하고 경쾌한
경과부를 거쳐 이번에는 D장조로 되돌아가 주요주제를 연주합니다.
이를 역시 되풀이하고 독주 첼로의 화려한 경과구를 거쳐 A장조로 제2부주제를 리듬을 변화
시켜 연주합니다.
잠시 분위기는 어두워지지만 곧 밝은 정감으로 되돌아가 이 부주제를 전개하고 주요주제를
상기시켜 줍니다.
곡은 d단조로 쓸쓸한 분위기로 변해 관현악이 주요 주제를 연주하고 이에 독주 첼로가 들어
와 기교적인 악구를 연주합니다.
다시 곡은 D장조의 밝은 장조로 바꾸어 주요주제를 연주하고 이어 화려한 종결부로 곡을
끝맺습니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