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P 이야기 (1)
페이지 정보

본문
카트릿지 관리
카트리릿지 바늘끝은 정기적으로 청소를 해야 합니다. 먼지가 바늘끝에 뭉쳐지거나 음반에서 깍여나온 PVC가루가
달라붙은 경우가 있습니다.
부드러운 그림붓으로 음반 하나 재생할 때마다 음반 회전 방향과 같이 안에서 바깥쪽으로 바늘끝을 살짝 쓸어주고,
10장 정도 재생후에는 전용 또는 무수알콜을 가볍게 묻흰 전용 브러시로 바늘끝을 앞의 요령대로 쓸어줍니다.
카트릿지 수명은 제대로 세팅된 경우 실 연주 시간으로 500시간 정도이다.
수명이 다되어 가는 것은 우선 안쪽 그루브를 재생할때 소리가 거칠어지고, 스 츠 하는 차찰음이 거슬리기 시작하며
음반의 그루브를 깍아낸 비닐가루가 바늘끝에 달라붙기 시작하는 걸로 알 수 있습니다.
그루브를 깍기 시작하면 당장 교환해야 합니다.
MM형, MI형 카트릿지는 대체로 교체용 바늘 세트를 쉽게 갈아 끼울 수 있고 MC형 카트릿지는 제조사에서 바늘교
체를 해 주거나 신품으로 맞교환합니다.
카트릿지 종류
발전 방식 차이에 따라 MM형 MI형 IM형 VR형 MC형 콘덴서형 광전형 등이 있는데 오늘날 주류는 MM형과 MC형
입니다.
MM형은 출력이 5mV정도, MC형은 출력이 0.2~5mV정도인데 주로 0.2~0.5mV정도의 저출력형이 대부분 입니다.
저출력형은 승압트랜스나 헤드앰프를 이용하여 출력을 높인 후 MM형용 포노이퀼라이저에 연결합니다.
MC입력이 가능한 포노 이퀼라이져라면 승압트랜스나 헤드앰프가 필요 없습니다.
MC형의 경우 내부 임피던스(교류에 대한 저항)와 승압트랜스간의 임피던스 매칭이 되어야 정상적인 주파수 특성을
나타납니다.
승압트랜스에는 2~5옴 정도에 맞는 저임피던스용과 20옴~40옴 이상인 고임피던스용이 있습니다.
카트릿지와 후 크업 와이어 (카트릿지 리드선) 연결
카트릿지 뒷면의 튀여나온 연결단자와 헤드셀의 튀여나온 단자는 색깔을 맞추어 연결합니다.
흔히 정면으로 보아 왼쪽 상하가 L+(WHILE), L-(BLUE), 오른쪽 상하가 R+(RED), R-(GREEN)입니다.
이게 안맞으면 좌우가 바귀거나 소리가 아주 작아지거나 음상 위치가 이상하게 됩니다.
암과 포노이퀼라이저 또는 승압트랜스와의 연결 인터커넥터
포노케이블은 RCA-RCA 타입, DIN-RCA타입, DIN-DIN, DIN-XLR등이 있습니다.
자신의 텐테이블과 암 및 포노이퀼라이저를 잘 보고 맞는 선을 선택해야 하고 밸런스로나오는 카트릿지 발전
원리상 밸런스 연결이 좋습니다.
카트리릿지 바늘끝은 정기적으로 청소를 해야 합니다. 먼지가 바늘끝에 뭉쳐지거나 음반에서 깍여나온 PVC가루가
달라붙은 경우가 있습니다.
부드러운 그림붓으로 음반 하나 재생할 때마다 음반 회전 방향과 같이 안에서 바깥쪽으로 바늘끝을 살짝 쓸어주고,
10장 정도 재생후에는 전용 또는 무수알콜을 가볍게 묻흰 전용 브러시로 바늘끝을 앞의 요령대로 쓸어줍니다.
카트릿지 수명은 제대로 세팅된 경우 실 연주 시간으로 500시간 정도이다.
수명이 다되어 가는 것은 우선 안쪽 그루브를 재생할때 소리가 거칠어지고, 스 츠 하는 차찰음이 거슬리기 시작하며
음반의 그루브를 깍아낸 비닐가루가 바늘끝에 달라붙기 시작하는 걸로 알 수 있습니다.
그루브를 깍기 시작하면 당장 교환해야 합니다.
MM형, MI형 카트릿지는 대체로 교체용 바늘 세트를 쉽게 갈아 끼울 수 있고 MC형 카트릿지는 제조사에서 바늘교
체를 해 주거나 신품으로 맞교환합니다.
카트릿지 종류
발전 방식 차이에 따라 MM형 MI형 IM형 VR형 MC형 콘덴서형 광전형 등이 있는데 오늘날 주류는 MM형과 MC형
입니다.
MM형은 출력이 5mV정도, MC형은 출력이 0.2~5mV정도인데 주로 0.2~0.5mV정도의 저출력형이 대부분 입니다.
저출력형은 승압트랜스나 헤드앰프를 이용하여 출력을 높인 후 MM형용 포노이퀼라이저에 연결합니다.
MC입력이 가능한 포노 이퀼라이져라면 승압트랜스나 헤드앰프가 필요 없습니다.
MC형의 경우 내부 임피던스(교류에 대한 저항)와 승압트랜스간의 임피던스 매칭이 되어야 정상적인 주파수 특성을
나타납니다.
승압트랜스에는 2~5옴 정도에 맞는 저임피던스용과 20옴~40옴 이상인 고임피던스용이 있습니다.
카트릿지와 후 크업 와이어 (카트릿지 리드선) 연결
카트릿지 뒷면의 튀여나온 연결단자와 헤드셀의 튀여나온 단자는 색깔을 맞추어 연결합니다.
흔히 정면으로 보아 왼쪽 상하가 L+(WHILE), L-(BLUE), 오른쪽 상하가 R+(RED), R-(GREEN)입니다.
이게 안맞으면 좌우가 바귀거나 소리가 아주 작아지거나 음상 위치가 이상하게 됩니다.
암과 포노이퀼라이저 또는 승압트랜스와의 연결 인터커넥터
포노케이블은 RCA-RCA 타입, DIN-RCA타입, DIN-DIN, DIN-XLR등이 있습니다.
자신의 텐테이블과 암 및 포노이퀼라이저를 잘 보고 맞는 선을 선택해야 하고 밸런스로나오는 카트릿지 발전
원리상 밸런스 연결이 좋습니다.
- 이전글LP 이야기 (2) 13.04.16
- 다음글음향 이론 2-1 (소리) 13.04.1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