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퀄라이져 역할 및 기능
페이지 정보

본문
이퀄라이져(EQUALIZER)는 평행 장치를 의미한다.
여러 분야에서 같은 이름으로 불려지고 있다.
여기서는 오디오 장치에 적용되는 것을 기본으로 설명한다.
이퀄라이져( 이후 EQ)는 반도체 오디오 앰프에 많이 적용되어져 왔다.
진공관 오디오 앰프에도 더러 사용되고 있으나, 음질이 변하고 자연음을 해친다는 개념이 내포되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 않다.
반도체 오디오 앰프의 경우,
메인 출력 앰프에 포노(LP출력)와 카셋트 , CD PLAYER 등이 연결 될 때 다소 음량과 음색이 원음에서 멀어지게 재생되어
질 수 있다.
이것은 메인 앰프와 출력되는 오디오 주파수 특성에 관계되는 것으로 EQ를 통하여 이것을 자기 귀에 맞게 적절하게 조절
해 준다.
자동으로 조절되는 것은 아니고 외부에 달린 각 주파수 밴드별 TONE CONTROL 단자를 조절하여 사용한다.
반도체로 구성된 앰프는 일반적으로 입출력 임피던스가 낮아 음색이 차갑게 느껴지고 주파수 특성도 제조 업체별 차이가
심하여 보통 TONE CONTROL 단자 또는 EQ AMP 내의 단자를 조절하여 사용한다.
진공관 앰프는 입출력 임피던스가 높고, 음색이 부드럽고 자연음 같이 재생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주파수 특성이
평탄하다.(FLAT)
주파수 특성이 평탄(FLAT)하다는 것은 별도의 EQ 기능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GAIN(음량크기)을 쉽게 올리고 내리기 위하여 프리 앰프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는 많이 있다.
아주 드물게 프리 앰프에 EQ 기능을 삽입하여 사용된 예는 있으나 진공관 앰프에서는 프리앰프에 톤 콘트롤이 함께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여러 분야에서 같은 이름으로 불려지고 있다.
여기서는 오디오 장치에 적용되는 것을 기본으로 설명한다.
이퀄라이져( 이후 EQ)는 반도체 오디오 앰프에 많이 적용되어져 왔다.
진공관 오디오 앰프에도 더러 사용되고 있으나, 음질이 변하고 자연음을 해친다는 개념이 내포되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 않다.
반도체 오디오 앰프의 경우,
메인 출력 앰프에 포노(LP출력)와 카셋트 , CD PLAYER 등이 연결 될 때 다소 음량과 음색이 원음에서 멀어지게 재생되어
질 수 있다.
이것은 메인 앰프와 출력되는 오디오 주파수 특성에 관계되는 것으로 EQ를 통하여 이것을 자기 귀에 맞게 적절하게 조절
해 준다.
자동으로 조절되는 것은 아니고 외부에 달린 각 주파수 밴드별 TONE CONTROL 단자를 조절하여 사용한다.
반도체로 구성된 앰프는 일반적으로 입출력 임피던스가 낮아 음색이 차갑게 느껴지고 주파수 특성도 제조 업체별 차이가
심하여 보통 TONE CONTROL 단자 또는 EQ AMP 내의 단자를 조절하여 사용한다.
진공관 앰프는 입출력 임피던스가 높고, 음색이 부드럽고 자연음 같이 재생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주파수 특성이
평탄하다.(FLAT)
주파수 특성이 평탄(FLAT)하다는 것은 별도의 EQ 기능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GAIN(음량크기)을 쉽게 올리고 내리기 위하여 프리 앰프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는 많이 있다.
아주 드물게 프리 앰프에 EQ 기능을 삽입하여 사용된 예는 있으나 진공관 앰프에서는 프리앰프에 톤 콘트롤이 함께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 이전글출력트랜스의 제작과 음질 13.04.15
- 다음글L.P 용 포노 앰프 및 복합 기능 사용법 13.04.0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