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5극 진공관이 탄생 되었나? > 일반 자료실

본문 바로가기
쇼핑몰 전체검색

전체메뉴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오늘 본 상품 0

없음

왜 5극 진공관이 탄생 되었나?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600회 작성일 13-04-15 23:57

본문

왜 5극 진공관이 탄생 되었나?

1. 수신기 감도을 좋게 하려면 증폭도가 커야 하는데, 3극관에서는 u (증폭율)가 큰 진공관을 만들기 어렵다.
이것은 내부 구조적인 문제로, u 을 크게하려면 케소드와 플레이트 간격을 되도록 멀리 떼어 놓아야 한다,
 케소드에서 나온 전자을 플레이트에서 끌어 당기려면 플레이트 전압이 높을수록 많은 전자가 끌어 당겨진다.
이러한 조건에서 케소드와 플레이트 간격이 멀어지면 그만큼 플레이트에 높은 전압이 더 요구 된다.

2. 높은 플레이트 전압이 요구되는 문제을 보완한 관이 4 극관인데, 3극관에서 케소드와 플레이트 간격을 떼어놓고,
그리드와 플레이트 사이에 그리드을 한개 더 삽입한다. 우리는 이것을 스크린 그리드라 부르며,
이 그리드에 plus 전압을 인가해 준다. 결과적으로 플레이트 전압이 그다지 높지 않아도 케소드에서 방출된 전자가
쉽게 플레이트에 당겨진다.

3. 쉽게 플레이트에 당겨진 전자는 4극관의 문제로 나타나게 된다.
열 전자가 플레이트에 부딪치면  그 에너지로 플레이트로 부터 다른 전자가 튀어 나오게 된다.
우리는 이것을 2차 전자라 부른다.(secondary electron).
이러한 2차 전자 영향으로 플레이트 전압을 증가 시켜도 플레이트 전류가 증가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되고
증폭 작용에 나쁜 영향을 준다.

4. 4극관의 문제을 보완한것이 5극관이다.
2차 전자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플레이트와 스크린 그리드 사이에 그리드을 추가하고,
 이 그리드에 케소드와 같은 전위을 인가하여 , 튀어나온 2차 전자을 마이너스 전위에 반발시켜 플레이트로 되돌린다.

5. 결과적으로 , 5 극관은 3 극관에 비하여 증폭율이 높으나 설계 하는데 고려해야 할 사항이 더 많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이트 정보

회사명 (주)케이벨 대표 강건일
주소 서울 금천구 가산동 345-90 한라시그마밸리 703호
사업자 등록번호 138-81-16316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 2010 서울 금천 0210 호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강건일

CS Center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토요일 오전 9시 ~ 오후 3시
(공휴일, 일요일 휴무)
TEL 02-6443-4703
FAX 02-6443-4700

Copyright © 2001-2013 (주)케이벨.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