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음 과 재생 기술이 음질에 미치는 영향
페이지 정보

본문
녹음과 재생기술이 음질에 미치는 영향
그 옛날 기계식 증폭기인 축음기 시대가 해방을 기점으로 사라지고,
진공관 시대가 오면서 오디오 앰프가 우리나라에도 상륙되었고 ,
디스크 음반이 개발되어 판매되기 시작 되어졌다.
진공관 오디오 앰프는 1945 이후 점차 많이 보급되기 시작 되었다.
음신호을 음반 (디스크)에 녹음하려면 많은 장치가 필요한데,
그중에서도 녹음된 음을 자연음에 가깝게 재생 되도록하는 기술이 중요 하다.
이러한 내용에 대한 기술을 표준화한 것의 하나가 RIAA 이다.
(RECORD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
음반 (레코드판) 이 처음 만들어질때는 ,
중음과고역음 (1.0Khz --20Khz)에서 잡음과 손실 문제가 발생되어져 ,
음을 녹음할때 중음을 기준으로 고역음의 LEVEL(음량) 을 키우고 ,
재생시에는 중음을 기준으로 키워진 중음과 고역음의 LEVEL 을 감쇄 시켰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레코드판을 재생하는 PHONO 앰프 특성은
저역(20hz--1.0khz)이 강조되고 고역이 감쇄된 특성을 갖는다.
음반을 만들때 강조된 특성과 앰프가 가지는 감쇄된 특성이 잘 맞아야 자연음에
가깝게 청취되는데 사실 이부분에서 다소 차이가 발생되고
이것을 보상하기위하여 이퀄라이져 앰프와 TONE CONTROL 회로가 재생 앰프에 붙게 되었다.
PHONO 앰프와 이퀄라이져 앰프는 카트리지 에서 출력된 신호음을 (약 1.0mv)
60db 증폭하여 (1000배)메인 앰프에 입력시킨다.
요즘 CD 재생기 (CD PLAYER) 의 출력은 2V rms 로 대체로 FLAT 한 주파수 특성을 갖고 있고,
여기에 연결되는 메인 앰프는 FLAT 하게 증폭을 하면된다.
디지탈 재생기기인 CD PLAYER 는 이퀄라이져 앰프없이 바로 메인 앰프에 연결하면 된다.
음을 재생했을때 기본적으로 주파수 특성이 FLAT 하여야 좋지만 자연음을 기준으로 볼때
녹음된 음의 특성과 재생 앰프 특성이 잘 맞아야 재생된 음질이 자연음에 가깝게 들린다.
별첨은 RIAA 재생 특성표 이다.
- 이전글바이어스 방법 과 음질 영향 13.04.15
- 다음글진공관 앰프의 음색 13.04.1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