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용 앰프와 교회용 앰프 차이점
페이지 정보

본문
1. 가정용 앰프는 프리앰프를 따로 구입하거나 혹은 프리앰프가 내장된 인테그레이트 앰프를 사용하지만, 대부분 교회에서
는 믹서를 사용하여 마이크나 기타 입력을 조정하므로 단순히 전력만 울려주는 부분인 파우어 앰프만 필요하다.
이 글에서 설명하는 앰프란 바로 파우어 앰프를 말하는 것이다.
교회용 앰프 (상업용 앰프)는 현재 대부분 진공관식이 아닌 트랜지스터식이고, AB급이나 B급 동작을 하며, 다양한 방식의
제품이 나와 있다.
위에서 말했듯이 앰프의 성능이 많이 향상된 요즘, 교회에서 앰프를 구입할 때에는 자세한 기술적인 특성보다 어떤 용도
(본당용인가 유아방용인가, 설교용인가 찬양팀용인가 혹은 그 둘을 다 만족시키는 것인가 등등)로 사용할 것인가를 먼저 고
려 하는 것이 좋다.
2. 교회에서는 일반 가정집보다 공간이 크므로 대출력 앰프를 요구한다.
주파수 대역이 넓은 섬세한 음악감상용으로 제작된 앰프보다는 다소 음질이 덜어지더라도 대출력을 요구하게 된 다.
그래서 가정용으로 제작된 앰프들이 음질을 중시하여 A급이나 AB급의 증폭을 하는 반면, 교회용의 SR(Sound Reinforce)
앰프들은 AB급이나 B급 증폭을 한다.
다소 왜율이 있다하더라도 불과 몇평 정도의 가정집이 아닌 커다란 공간, 스피커와 듣는 사람이 멀리 떨어진 거리, 그리고
넓은 주파수대역을 필요로 하지 않은 설교말씀의 전달 (인간의 음성 주파수 대역은 극히 제한되어 있다)에는 섬세한 A급 증
폭이 무의미해 지는 것이다.
3. 가정용 앰프가 좋은 음질의 음악재생을 위해 많은 조정장치와 스위치가 있으면, 교회에서는 사용의 간편함과 내구성을
위하여 가능하면 튼튼하고 조작이 간편한 앰프를 선택한다.
특히 교회는 앰프의 특성을 아해하는 한 사람이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사람 저사람이 다루게 되고 그중에는 음향시설에
대해 이해가 부족한 분들도 있으므로 내구성과 간편함은 앰프 선택에 중요한 요건이다.
4. 교회용 SR앰프는 가능하면 발란스 단자가 있고 볼륨 조절 스위치가 있는 것을 구입한다. 가정용 앰프들은 대부분 RCA
단자라고 하는 언발란스 단자를 기기간의 연결선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이 RCA선은 외부에서 잡음이 유입되기가 쉬으므로
가능하면 발란스선을 사용할 수 있는 앰프를 구입한다.
상업용으로 제작된 앰프들도 저가형에서는 이 발란스선을 사용하는 단자가 없는 것이 있다. 이러한 앰프는 잡음에도 약하고
설치장소에 제약을 받게 되므로 가능하면 발란스 단자가 내장된 앰프를 구입하도록 한다.
또한 믹서에서 유니티 게인을 맞추기가 쉽고, 각각의 앰프와 채널을 조정할 수 있도록 파우어 앰프 자체에 볼륨이 장착된 앰
프를 구하는 것이 좋다.
5. 예전에 칼럼 스피커를 사용할 때에는 고임피던스 스피커 단자가 있는 앰프들을 사용하였다. 앰프 뒷면을 보면 70Volt,
1000Volt라고 쓰여진 스피커 연결탶이 이것이다.
그러나 요즘은 음색이 부드럽고 대용량의 음향을 재생할 수 있는 저임피던스 스피커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4옴(Ohm), 8옴,
16옴 등의 단자가 있는 앰프들을 사용한다.
가능하면 2옴이나 4옴 등의 아주 낮은 저임피던스에 대응하는 앰프가 내구성도 좋고 성능이 좋은 앰프이다.
가정용 앰프는 저임피던스인 4옴, 8옴, 16옴을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앰프이나 다른 점이 있다면, 아주 고가의 제품이 아니면
대전류앰프 (High Current)앰프가 아니라는 점이다.
상업용의 대전류 앰프는 순간적인 대출력에 대응을 빨리하여 음의 찌그러짐이 작다.
이것을 다이나믹 헤드륨 (Dynamic Headroom)이 높다고 한다.
앰프가 스피커를 제어하는 능력을 댐핑팩터라고 하는데, 댐핑팩터의 수치가 클수록 스피커 제어능력이 좋은 앰프이다.
이석은 음색에 많은 영향을 미치나 교회 음향시설에서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다.
설교말씀 중심이었던 교회음향 시설은 전자악기 등의 발전으로 찬양 사역에도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으며, AV시설
즉 비디오, 컴퓨터의 밀티미디어, 대형화면, 슬라이드 프로젝트와의 연동으로 그 활용범위가 더 다양해지고 있다.
혹시 이런 시설이 없는 교회라 할지라도 앞으로의 시설 추가를 고려하여 가능하면 스테레오 앰프의 구입을 권하는 바이다.
모노앰프를 사용하게 되면 음악재생시 음장감이 없게 된다.
스테레오 앰프를 사용하면 모노 재생을 하더라도 모노앰프 두 대의 효과가 있으므로 경제적이라 할 수 있다.
교회를 상대로 하는 많은 시공업자들이 저가품의 모노 앰프, 발란스 단자가 없는 앰프, 볼륨 단자가 없는 앰프들을 납품하는
것을 많이 보게 되는데, 물론 용도에 따라 부득이한 경우도 있겠지만 가능하면 교회에서는 장래를 내다보고 품질좋은 앰프
를 구입하였으면 한다.
는 믹서를 사용하여 마이크나 기타 입력을 조정하므로 단순히 전력만 울려주는 부분인 파우어 앰프만 필요하다.
이 글에서 설명하는 앰프란 바로 파우어 앰프를 말하는 것이다.
교회용 앰프 (상업용 앰프)는 현재 대부분 진공관식이 아닌 트랜지스터식이고, AB급이나 B급 동작을 하며, 다양한 방식의
제품이 나와 있다.
위에서 말했듯이 앰프의 성능이 많이 향상된 요즘, 교회에서 앰프를 구입할 때에는 자세한 기술적인 특성보다 어떤 용도
(본당용인가 유아방용인가, 설교용인가 찬양팀용인가 혹은 그 둘을 다 만족시키는 것인가 등등)로 사용할 것인가를 먼저 고
려 하는 것이 좋다.
2. 교회에서는 일반 가정집보다 공간이 크므로 대출력 앰프를 요구한다.
주파수 대역이 넓은 섬세한 음악감상용으로 제작된 앰프보다는 다소 음질이 덜어지더라도 대출력을 요구하게 된 다.
그래서 가정용으로 제작된 앰프들이 음질을 중시하여 A급이나 AB급의 증폭을 하는 반면, 교회용의 SR(Sound Reinforce)
앰프들은 AB급이나 B급 증폭을 한다.
다소 왜율이 있다하더라도 불과 몇평 정도의 가정집이 아닌 커다란 공간, 스피커와 듣는 사람이 멀리 떨어진 거리, 그리고
넓은 주파수대역을 필요로 하지 않은 설교말씀의 전달 (인간의 음성 주파수 대역은 극히 제한되어 있다)에는 섬세한 A급 증
폭이 무의미해 지는 것이다.
3. 가정용 앰프가 좋은 음질의 음악재생을 위해 많은 조정장치와 스위치가 있으면, 교회에서는 사용의 간편함과 내구성을
위하여 가능하면 튼튼하고 조작이 간편한 앰프를 선택한다.
특히 교회는 앰프의 특성을 아해하는 한 사람이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사람 저사람이 다루게 되고 그중에는 음향시설에
대해 이해가 부족한 분들도 있으므로 내구성과 간편함은 앰프 선택에 중요한 요건이다.
4. 교회용 SR앰프는 가능하면 발란스 단자가 있고 볼륨 조절 스위치가 있는 것을 구입한다. 가정용 앰프들은 대부분 RCA
단자라고 하는 언발란스 단자를 기기간의 연결선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이 RCA선은 외부에서 잡음이 유입되기가 쉬으므로
가능하면 발란스선을 사용할 수 있는 앰프를 구입한다.
상업용으로 제작된 앰프들도 저가형에서는 이 발란스선을 사용하는 단자가 없는 것이 있다. 이러한 앰프는 잡음에도 약하고
설치장소에 제약을 받게 되므로 가능하면 발란스 단자가 내장된 앰프를 구입하도록 한다.
또한 믹서에서 유니티 게인을 맞추기가 쉽고, 각각의 앰프와 채널을 조정할 수 있도록 파우어 앰프 자체에 볼륨이 장착된 앰
프를 구하는 것이 좋다.
5. 예전에 칼럼 스피커를 사용할 때에는 고임피던스 스피커 단자가 있는 앰프들을 사용하였다. 앰프 뒷면을 보면 70Volt,
1000Volt라고 쓰여진 스피커 연결탶이 이것이다.
그러나 요즘은 음색이 부드럽고 대용량의 음향을 재생할 수 있는 저임피던스 스피커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4옴(Ohm), 8옴,
16옴 등의 단자가 있는 앰프들을 사용한다.
가능하면 2옴이나 4옴 등의 아주 낮은 저임피던스에 대응하는 앰프가 내구성도 좋고 성능이 좋은 앰프이다.
가정용 앰프는 저임피던스인 4옴, 8옴, 16옴을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앰프이나 다른 점이 있다면, 아주 고가의 제품이 아니면
대전류앰프 (High Current)앰프가 아니라는 점이다.
상업용의 대전류 앰프는 순간적인 대출력에 대응을 빨리하여 음의 찌그러짐이 작다.
이것을 다이나믹 헤드륨 (Dynamic Headroom)이 높다고 한다.
앰프가 스피커를 제어하는 능력을 댐핑팩터라고 하는데, 댐핑팩터의 수치가 클수록 스피커 제어능력이 좋은 앰프이다.
이석은 음색에 많은 영향을 미치나 교회 음향시설에서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다.
설교말씀 중심이었던 교회음향 시설은 전자악기 등의 발전으로 찬양 사역에도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으며, AV시설
즉 비디오, 컴퓨터의 밀티미디어, 대형화면, 슬라이드 프로젝트와의 연동으로 그 활용범위가 더 다양해지고 있다.
혹시 이런 시설이 없는 교회라 할지라도 앞으로의 시설 추가를 고려하여 가능하면 스테레오 앰프의 구입을 권하는 바이다.
모노앰프를 사용하게 되면 음악재생시 음장감이 없게 된다.
스테레오 앰프를 사용하면 모노 재생을 하더라도 모노앰프 두 대의 효과가 있으므로 경제적이라 할 수 있다.
교회를 상대로 하는 많은 시공업자들이 저가품의 모노 앰프, 발란스 단자가 없는 앰프, 볼륨 단자가 없는 앰프들을 납품하는
것을 많이 보게 되는데, 물론 용도에 따라 부득이한 경우도 있겠지만 가능하면 교회에서는 장래를 내다보고 품질좋은 앰프
를 구입하였으면 한다.
- 이전글오디오 용어 설명 13.04.16
- 다음글내구성과 간편함은 앰프의 중요한 선택 요건이다 13.04.1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